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26

행복루틴 0109 #긍정확언이란?확언이란 내가 바라는 상태로 꼭 이루어지는 자기암시문이다. 긍정적인 자기 암시문을 지속적으로 씀으로써 결국 그대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나를 위한 긍정확언나는 원치 않는 상황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그 안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는 현명한 사람이다.#행복루틴스트레칭 ✔️책읽기 ✔️자격증공부 ✔️블로그 글쓰기 ✔️ 2025. 1. 10.
행복루틴 0108 #긍정확언이란?확언이란 내가 바라는 상태로 꼭 이루어지는 자기암시문이다. 긍정적인 자기 암시문을 지속적으로 씀으로써 결국 그대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나를 위한 긍정확언확 추운 날씨는 뭔가 정신을 번쩍이게 하듯, 나의 일상도 명쾌하고 총명하다#행복루틴스트레칭 ✔️책읽기 ✔️자격증공부 (못 함! 오늘 두배하기♡) 2025. 1. 9.
자존감을 높이는 엄마 말 "대견하다/수고하다" 김종원 아이는 살면서 친구 관계로 참 많은 고민과 어려움을 겪습니다. 하지만 부모의 이런 지혜로운 말을 듣고 자란다면, 어떤 어려움도 스스로 해결할 수 있게 될 겁니다.  수고하다 / 대견하다 수고하다 「동사」 일을 하느라고 힘을 들이고 애를 쓰다.공부나 양치질, 질서 지키기 등 아이가 살면서 당연히 지켜야 할 것들을 했을 때는 수고했다는 말이 적절하지 않습니다. 당연하게 해야 하는 일이지, 수고가 필요한 일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이 부분을 정확하게 인지해야 어떤 상황에서 수고한다는 말이 필요한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자연스럽게 ‘수고를 했으니 보답을 받아야지’라는 부정적인 생각까지 할 수 있습니다. 이후 아이들은 이런 말을 하게 됩니다. “나 공부했으니까 스마트폰 30분만 더 할게!” 대견하다 「형용사.. 2025. 1. 8.
아이를 위한 적절한 칭찬과 인정 자녀가 성적이 올랐을 때 칭찬을 하는 것은 존재 자체에 대한 반응이 아니고 그가 올린 성과에 대한 반응이니 전혀 의미가 없는 것일까. 그렇지는 않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제대로 된 주목이고 공감일까.  아이에게 칭찬할 때 “와우! 성적이 그렇게 올랐구나. 참 잘했다”는 식으로 오른 점수에 방점을 찍는 칭찬보다는“성적이 그렇게 많이 올랐구나! 네가 이번에 정말 노력을 많이 했나 보다. 참 애썼어”라고 한다면 오른 성적보다 아이의 존재 자체에 집중을 한 것이다. 성적이 오르는 상황을 이끌어낸 ‘아이 자체’에 집중을 한 것이다. 외형적 성과나 성취 자체에 대한 과도한 방점은 사람에게 성과에 대한 불안과 강박을 가져오지만 존재 자체에 대한 집중은 안정과 평화를 준다. 부작용이 없다.  존재 자체에 대한 주목과.. 2025. 1.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