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존감2 자존감을 높이는 엄마 말 "대견하다/수고하다" 김종원 아이는 살면서 친구 관계로 참 많은 고민과 어려움을 겪습니다. 하지만 부모의 이런 지혜로운 말을 듣고 자란다면, 어떤 어려움도 스스로 해결할 수 있게 될 겁니다. 수고하다 / 대견하다 수고하다 「동사」 일을 하느라고 힘을 들이고 애를 쓰다.공부나 양치질, 질서 지키기 등 아이가 살면서 당연히 지켜야 할 것들을 했을 때는 수고했다는 말이 적절하지 않습니다. 당연하게 해야 하는 일이지, 수고가 필요한 일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이 부분을 정확하게 인지해야 어떤 상황에서 수고한다는 말이 필요한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자연스럽게 ‘수고를 했으니 보답을 받아야지’라는 부정적인 생각까지 할 수 있습니다. 이후 아이들은 이런 말을 하게 됩니다. “나 공부했으니까 스마트폰 30분만 더 할게!” 대견하다 「형용사.. 2025. 1. 8. 학습에서 '자아존중감'이 중요한 이유는? 안녕하세요. 루미학습진로코칭 루미샘입니다. ^^ 오늘은 '자아존중감'에 대해 다루어 보겠습니다. 학습역량검사에서 '자아존중감'이 학습역량에 포함되는 데, 그 이유는 무엇을까요? 자아존중감의 사전적 정의는, 사티어(V. Satir) 이론의 핵심적 개념으로 자신에게 가지는 애착, 존중, 사랑, 신뢰를 느끼는 기본욕구 즉, 자아존중감은 개인이 자신을 유능하고 중요하며 성공적이고 가치있다고 생각하는 정도를 말합니다. 사티어는 인간의 내면에는 항상 사랑과 인정을 받고자 하는 욕구와 자아존중에 대한 원초적 욕구가 있는데, 이런 욕구가 충족될 때 자기가치와 자아존중감이 학습되고 발전된다고 보았습니다. 로젠버그는 자아존중감에 대해, 두 가지로 나눠서 설명, 첫번째, 개인이 판단하는 또는 자신 스스로에 대해 의식적으로 .. 2023. 6. 25. 이전 1 다음 반응형